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엽서_엽서
- 조한울
- 조진국_너의_눈물까지_감싸안는_사람이고_싶다
- 요요나 그래도 행복에 기대고 싶다
- 최종훈 교수의 인생교훈
- 셍언니
- 울기 좋은 방
- 목표는 별!
- 풍경일기
- 웃음의 종류
- 정가영
- 유일한 여자동기였던 너
- 햇살님
- 꽃이 지나면 잎이 보이듯이
- 에이브러햄 매슬로
- 하루키
- 어른아에 덜 자란 아이
- 그리움의 간격
- 관계 규정
- _-;;;
- 할머니의 야학
- 나는 혼자다
- 문영훈
- 박범신
- 성우와 병윤이
- 리차드 그린버그
- 엔지니어66
- 홍성우 배준기
- 동전들
- 맹씨행단
- Today
- Total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서울경제] 조상인의 예(藝) 칼럼모음 91~101 본문
https://www.sedaily.com/NewsView/1S8GO9DAZ7
[조상인의 예(藝)-<91>'해상군선도' 10폭 병풍]바다 건너는 八仙...獨친구 떠나보내는 고종의 이별��
‘해상군선도’ 10폭 병풍, 19세기말~20세기 초, 종이에 그린 채색화, 병풍 전체 196x423.5cm, 그림 크기 152.7x415.7cm /사진제공=아모레퍼시픽미술관하룻밤 동안 전 세계 어린이들에게 선물을 전해주는
www.sedaily.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S8JW9X330
[조상인의 예(藝)-<92>최종태 '성모상', 관음보살상]지척에 마주한 성모와 관음보살...편견없는 포�
1997년에 제작한 185㎝ 높이의 천주교 서울대교구 혜화동 성당의 ‘성모상’/권욱기자크리스마스 분위기가 서울 종로구 혜화동 성당으로 이끌었다. 들썩이지 않아도 왠지 달뜨는 시기인지라, 성�
www.sedaily.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S8N3FMHJG
[조상인의 예(藝)-<93>정창섭 '묵고99606']닥종이로 빚은 그림...'물아합일'의 조화
정창섭 ‘묵고 99606’ 1999년, 캔버스에 닥지, 194x259cm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가로 세로 2m를 훌쩍 넘긴 화면 전체가 허옇게 뒤덮인, 이것은 ‘그리지 않은 그림’이다. 신문이 백색지(白色紙)가
www.sedaily.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VDWO8C6OW
[조상인의 예(藝)]형용할 길 없는 桃紅...무병장수의 신령한 기운 담겨
‘해반도도(海蟠桃圖), ’신선세계의 복숭아‘를 그린 것으로 앞면은 왕의 위엄을 상징하는 ’일월오봉도‘로 제작돼 왕실용으로 추정된다. 19세기 조선, 213.5x151.5cm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
www.sedaily.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VDZWO9BAV
[조상인의 예(藝)-<95>구본웅 '친구의 초상']붉게 번뜩이는 눈빛...식민지 지식인의 고뇌를 담다
구본웅 ‘친구의 초상’ 1935년, 캔버스에 유채, 62x50cm, ‘우인상(友人像)’이라고도 불렸는데 구본웅과 가까웠던 화가 이마동이 이상을 그린 것임을 알아봤고 세상에 알려졌다. /사진제공=국립��
www.sedaily.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VE33L6SQJ
[조상인의 예(藝)-<96>박현기 '만다라'] '聖과 俗' 경계 부질없다는 듯…만다라·포르노 이미지 뒤��
박현기 ‘만다라 시리즈’ 1997년, 단채널비디오, 상영시간 30분.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박현기 ‘만다라 시리즈’ 중 ‘카오스’, 1997년작, /사진제공=갤러리현대삼라만상과 천태만상이 얽히
www.sedaily.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VE6BQ7RN7
[조상인의 예(藝)] 눈 덮인 초록 대나무...날렵한 줄기엔 굴하지 않는 기상이
유덕장 ‘설죽(雪竹)’ /사진제공=간송미술문화재단연두색 댓잎이 소복한 흰 눈을 머리에 이고 섰다. 조금 무겁고 다소 시릿해도 허리 구부리고 머리 숙이지 않으니 그래서 대나무다.후두둑 눈
www.sedaily.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VF584F1KP
[조상인의 예(藝)-<98> 이만익 '해맞이']막 떠오른 동그란 태양...새해 축복 염원을 담다
이만익 ‘해맞이’ 1989년, 종이에 실크스크린, 45x65.4cm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우뚝 선 두 그루 나무 사이로 분홍과 연초록의 상서로운 구름이 피어올랐다. 말간 얼굴을 방금 내민 동그란 태양
www.sedaily.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VF8GIAFP3
[조상인의 예(藝)-<99> 양기훈 '자수매화도']겨울 뚫고 싹 나오듯...한땀 한땀 손끝으로 피워낸 매��
양기훈이 그림을 그리고 평안남도 안주 지방의 남자 자수장이 수놓아 완성한 ‘자수매화도’ 10폭 병풍./사진제공=아모레퍼시픽미술관 APMA남풍을 타고 아득한 매화 향기가 전해 온다. 섣달 눈발
www.sedaily.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VFBNZTXDA
[조상인의 예(藝)-<100>이우환 '점으로부터']화폭 뒤덮은 수백개의 점...교감의 미학을 담다
이우환 ‘점으로부터’ 1973년, 캔버스에 석채, 194x259cm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점(點)은 시작이요, 끝이다. 점을 우선 찍어야, 선으로 이어가는 것이나 면으로 펼쳐가는 일이 가능하다. 마침표
www.sedaily.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VFEVH3D44
[조상인의 예(藝)] 조선 초기부터 근현대까지...한국 미술의 뿌리를 되짚다
김환기 ‘매화와 항아리’ 1957년작, 캔버스에 유채, 55x35cm / 사진제공=ⓒ(재)환기재단·환기미술관 (ⓒ Whanki Foundation·Whanki Museum)“두 손을 펴서 열 손가락만큼, 알고 있는 한국 미술가의 이름을 ��
www.sedaily.com
'간서치(看書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명박 위협하는 ‘4대 라이벌’ /시사IN (0) | 2020.10.05 |
---|---|
헌법의 눈물을 보았는가? - 우석훈 (0) | 2020.10.05 |
[서울경제] 조상인의 예(藝) 칼럼모음 81~90 (0) | 2020.09.27 |
간자장의 달걀프라이 그리고 부산말 (0) | 2020.09.23 |
[소설가 김훈 세월호 1년 특별기고] 1년째 ‘수취인 불명’ 남해의 부고 (0) | 2020.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