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홍성우 배준기
- 조진국_너의_눈물까지_감싸안는_사람이고_싶다
- 엽서_엽서
- 꽃이 지나면 잎이 보이듯이
- 유일한 여자동기였던 너
- 조한울
- 최종훈 교수의 인생교훈
- 햇살님
- 어른아에 덜 자란 아이
- 울기 좋은 방
- 리차드 그린버그
- 하루키
- 웃음의 종류
- 맹씨행단
- 엔지니어66
- 문영훈
- 나는 혼자다
- 성우와 병윤이
- _-;;;
- 그리움의 간격
- 풍경일기
- 박범신
- 셍언니
- 동전들
- 정가영
- 요요나 그래도 행복에 기대고 싶다
- 관계 규정
- 할머니의 야학
- 에이브러햄 매슬로
- 목표는 별!
- Today
- Total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서울경제] 조상인의 예(藝) 칼럼모음 81~90 본문
https://www.sedaily.com/NewsView/1S5SN87UZ9
[조상인의 예(藝)-<81>이강소 '무제 91182'] 외로이 떠 있는 빈 배...무심한 붓질로 그려낸 詩같은 풍�
이강소 ‘무제 91182’ 1991년, 218.2x333.3cm 캔버스에 유화.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살아있는 닭의 발목을 멍석 위 말뚝에 묶어뒀다. 반경 570㎝의 공간이 제 세상이 됐다. 화가 이강소(75)는 멍석 주
www.sedaily.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S5VUOLOZB
[조상인의 예(藝)-<82>소치 허련 '가을산수'] 아찔하게 솟은 절벽...아늑한 오두막집...묵향 그윽한
소치 허련 ‘가을산수’, 19세기, 종이에 수묵담채화 106.6x54.1의 그림으로 두 폭이 한 쌍을 이룬다.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어찌나 급작스럽게 계절이 바뀌었는지, 가을이 파도를 타고 와락 달�
www.sedaily.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S5Z2P3B1Z
[조상인의 예(藝)-<83>변시지 '절도(絶島)']홀로 웅크려 앉아 태풍 맞는 사내...고독 속에서도 움트�
변시지 ‘절도’ 1981년, 캔버스에 유채, 160x112cm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제주는 검은 빛”이라고 말한 그는 고향이 제주라고 했다. 화산섬 제주의 현무암이 검은색이니 땅도 검고 그 돌로 쌓
www.sedaily.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S62AMR942
[조상인의 예(藝)-<84>곽인식 '작품83-B']노랑·주황·빨강 경쾌한 색점...캔버스에 단풍이 내려앉았�
곽인식 ‘작품83-B’ 1983년, 캔버스 위 종이에 수채로 그림, 170x96cm짜리 3폭.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설악산과 오대산에 이어 북한산까지 절정의 단풍이 내려앉았다. 경복궁, 창덕궁, 덕수궁 등
www.sedaily.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S71833XZ4
[조상인의 예(藝)-<85>김흥수 '가을']강렬한 색점 속 두여인...그윽한 晩秋의 서정
김흥수 ‘가을’. 1961년에 198x260cm 캔버스에 그린 대형 유화. 노랑과 빨강이 혼합돼 무르익은 가을 분위기를 전하는 그림 안에서 여인의 모습도 찾아낼 수 있다.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제목마
www.sedaily.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S74ENDFWV
[조상인의 예(藝)-<86>한시각 '북새선은도']꼼꼼한 인물 묘사...조선 중기 생생한 科擧 풍경
한시각 북새선은도‘ 중 ’길주목의 과거시험‘ 그림. 1664년작이다.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시험을 앞둔 사람이 문득문득 느끼는 떨림을 가을비 직후 성큼 다가온 찬 공기의 시릿함에 비하겠
www.sedaily.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S77MZHQ4O
[조상인의 예(藝)-<87>노수현 '사계산수도']소나무와 운치 곁들인 정자...묵향에 스민 '무릉도원'
심산 노수현의 ‘사계산수도’ 중 일부. 총 10폭의 병풍그림을동료인 청전 이상범과 5폭씩 나눠 그렸고 스승 안중식이 시를 적었다. 1917년작, 그림 각 132x32cm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발그라니 �
www.sedaily.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S7AULEYC0
[조상인의 예(藝)-<88>손상기 '공작도시-독립문 밖에서']담벼락에 매달린 덩굴꽃...붓끝에 담은 희�
손상기 ‘공작도시-독립문밖에서’ 1984년, 캔버스에 유채, 161x130cm /사진제공=손상기기념사업회그토록 낮아져 본 적 있는가. 툭툭 떨어진 낙엽 같은, 바닥에 닿은 시선으로 육중한 담벼락을 올려
www.sedaily.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S7E38CFI8
[조상인의 예(藝)-<89>박서보 '묘법'] 체념한듯 발버둥치는 線..'비움'을 아로새기다
박서보 ‘묘법(Ecriture) No.43-78-79-81’ 1981년, 면천에 유채와 흑연 작업, 193.5x259.5cm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눈(雪) 속으로 내몰렸다. 하염없이 흩날리는 눈이 온 세상을 뒤덮어 어느덧 여기가 어��
www.sedaily.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S8DGA82SU
[조상인의 예(藝)-<90>권옥연 '달밤']세 자락 천 사이 휘영청 뜬 보름달...간밤 꿈같은 풍경
권옥연 ‘달밤’ 1999년, 캔버스에 유채, 130x109cm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누가 하늘에 저런 천 자락을 걸었으려나. 가리려고 드리운 장막인가, 보여주려 내리친 은막인가. 세 자락 천 사이로 휘�
www.sedaily.com
'간서치(看書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헌법의 눈물을 보았는가? - 우석훈 (0) | 2020.10.05 |
---|---|
[서울경제] 조상인의 예(藝) 칼럼모음 91~101 (0) | 2020.09.27 |
간자장의 달걀프라이 그리고 부산말 (0) | 2020.09.23 |
[소설가 김훈 세월호 1년 특별기고] 1년째 ‘수취인 불명’ 남해의 부고 (0) | 2020.09.22 |
[주간조선] 조정육 칼럼 모음 (0) | 2020.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