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어른아에 덜 자란 아이
- 엽서_엽서
- 풍경일기
- 그리움의 간격
- 문영훈
- 조한울
- 동전들
- 엔지니어66
- 나는 혼자다
- 정가영
- 관계 규정
- 하루키
- 유일한 여자동기였던 너
- 박범신
- 최종훈 교수의 인생교훈
- 목표는 별!
- 햇살님
- 요요나 그래도 행복에 기대고 싶다
- 홍성우 배준기
- 셍언니
- 맹씨행단
- 조진국_너의_눈물까지_감싸안는_사람이고_싶다
- 성우와 병윤이
- 할머니의 야학
- 꽃이 지나면 잎이 보이듯이
- 에이브러햄 매슬로
- 울기 좋은 방
- 리차드 그린버그
- _-;;;
- 웃음의 종류
Archives
- Today
- Total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간자장의 달걀프라이 그리고 부산말 본문
http://www.gyeoremal.or.kr/webzine/2011_07/sub03.jsp
부산말 ‘이쁘다’와 ‘새첩다’는 그 기능이 다르다. ‘이쁘다’는 사람의 얼굴이 아름답게 생겼다는 의미로 쓰지만 ‘새첩다’는 사물의 모양이 작거나 색깔이 아름다워서 사물이 귀여울 때 쓰는 말이다. 또한 ‘국자’와 ‘쪽(자)’는 지시물이 다르다. ‘쪽자’는 ‘반쪽’이나 ‘쪽발이’에서 보듯 ‘작다, 반’이란 뜻의 ‘쪽’을 어원으로 하며, 작은 국자를 의미한다. ‘달고나’를 ‘쪽자’로 부르는데, 원래 ‘쪽자’는 국자로는 만들어 먹지 않았다. 부산 사람들은 ‘어묵’과 ‘오뎅’이 다른 식품임을 안다.
- 링크 글의 내용 중에
+) 말이라는것. 어쩌면 기억에, 머리 속에 각인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한번도 소리로 내뱉어 보진 못 했지만 기억 저편 아주 어렸을적에 할머니들에게 듣던 "새첩다"라는 말이 있다. 수연마님 의 스토리 댓글에서 본 자그마한 파밭 사진을 보는 순간 기억의 더미 어느곳에 있던 그 단어가 저절로 입안을 맴돌았다. 어쩌면 그리 딱인지. 일물일어설을
++) 2020년에 덧붙이면...왜 저렇게 글이 쓰다가 잘려버렸는지. 뭐라고 덧붙여될까, 그냥 지워버릴까 하다가 그대로 냅둔다.
'간서치(看書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경제] 조상인의 예(藝) 칼럼모음 91~101 (0) | 2020.09.27 |
---|---|
[서울경제] 조상인의 예(藝) 칼럼모음 81~90 (0) | 2020.09.27 |
[소설가 김훈 세월호 1년 특별기고] 1년째 ‘수취인 불명’ 남해의 부고 (0) | 2020.09.22 |
[주간조선] 조정육 칼럼 모음 (0) | 2020.09.21 |
[농민일보] 손철주의 옛 그림 이야기 (0) | 2020.09.21 |